반응형

IT/JSP

[JSP] 아파치(Http 웹 서버)와 톰캣(WAS서버, 웹애플리케이션서버)

웹 서버 -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기다리고 요청에 대한 데이터를 만들어서 응답하는 역할 (데이터는 정적인 데이터(html, css, 이미지등)로 한정) - 웹 서버와 웹 컨테이너의 결합으로 다양한 기능을 컨테이너에 구현하여 다양한 역할을 수행 WAS서버 - 클라이언트의 요청이 있을 때 내부 프로그램을 통해 결과를 만들어내고 이것을 다시 클라이언트에게 돌려주는 역할 (JSP와 서블릿 처리, 서블릿의 수명 주기 관리, 요청 URL을 서블릿 코드로 매핑, HTTP 요청 수신 및 응답, 필터 체인 관리 등) 아파치와 톰캣의 차이점 - WAS는 동적인 데이터를 처리하는 서버. DB연결, 데이터 조작등과 같은 처리는 WAS를 활용해야 함 - 아파치(80 포트) , 톰캣(8080 포트) - 톰캣에서 아파치의 기능(웹서..

2020.07.30 게시됨

IT/JSP

[JSP]HTTP프로토콜

인터넷 통신 프로토콜 종류 - HTTP(html(웹페이지)전송통신규약) - FTP(파일전송통신규약) - SMTP(메일통신규약) HTTP프로토콜(통신규약 : 사용자 서버 통신 규약) - HyperText Transfer Protocol - 사용자 요청, 서버응답 - HTTPS는 HyperText Transfer Protocol Security(보안↑) get방식 - URL뒤에 데이터(파라미터)값을 보이게 전송 - 모든 하이퍼 링크, 기본방식 - 데이터(파라미터)길이가 256byte를 넘길수 없다 - 보안이 떨어짐 post방식 - http본문(body)에 데이터(파라미터)값을 담아서 보이지 않게 전달 - form태그에서만 설정가능 - 길이 제약이 없음 - 보안이 좋음(form태그는 무조건 post방식)

2020.07.30 게시됨

IT/JSP

[JSP]JSP란?

jsp(Jave Server Page)란? - HTML페이지 내에 자바코드를 삽입하여 동적인페이지를 구현하는 기술 **HTML은 정적인 페이지 JSP의 사용자 서버간 통신(처리)흐름 HTML통신(처리)흐름 1) 사용자(웹브라우저)주소 http://localhost:8080/StudyJSP/js3/test.html요청 2) http가 localhost:808서버로 찾아감 test.html 요청 3) 웹서버 test.html 바로 찾아 .html처리 할 필요 없음 **차이 4) 찾은 test.html 을 http에 전달 5) http들고 사용자에 감=>사용자화면 웹브라우저 화면 웹브라우저 화면 test.html 보여줌 JSP 1) 사용자(웹브라우저)주소 http://localhost:8080/StudyJSP..

2020.07.30 게시됨

반응형